윈도우 비스타 또는 윈도우 7에서 서비스 팩을 설치한 후에 무슨 찌꺼기가 남지 않을까요? 예, 남습니다. 이 파일을 서비스 팩 백업 파일이라고 부르며 서비스 팩을 제거할 때 사용되는 파일입니다. 이 파일들은 윈도우 RTM 버전을 설치한 후 서비스 팩을 설치했을 때에만 해당되며, 서비스 팩이 포함된 통합본으로 설치했을 경우에는 백업 파일이 남지 않습니다.
그런데 이 파일들은 용량도 커서(약 500MB 정도) 디스크 용량을 많이 이용하고 싶으신 분들께는 걸림돌이 될 수도 있습니다. 그리고 이 파일들은 서비스 팩을 나중에 제거할 것이 아니면 필요가 없습니다. 시스템에 큰 문제가 있지 않는 한 서비스 팩은 보안상의 이유로 계속 놔두는 것이 좋기 때문입니다.
참고로 테스트한 시스템은 Windows 7 Professional K (x86)에 서비스 팩 1을 설치하였습니다.
서비스 팩을 설치하고 프로그램 및 기능으로 가 보면 제거 버튼이 보입니다.
이 말은 아직 백업 파일이 남아 있다는 말입니다.
그럼 이제 이 파일들을 제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
제거하는 방법에는 디스크 정리 유틸리티를 사용하는 GUI 방법과 명령 프롬프트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.
1. 디스크 정리 유틸리티 사용하기
시작 - 실행 - cleanmgr 를 입력합니다.
'시스템 파일 정리' 를 클릭합니다.
드라이브가 여러 개인 경우 드라이브를 선택하라는 화면이 나올 수 있는데, 이 경우 C:를 선택하시면 됩니다. |
삭제할 파일에서 '서비스 팩 백업 파일' 을 선택한 후 확인을 클릭합니다.
간혹 서비스 팩 백업 파일이 있는데도 용량이 0바이트로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. 왜 그런지는 정확히 모르겠지만, 2번 방법을 사용하시면 정상적으로 제거하실 수 있습니다. |
2. 명령 프롬프트 사용하기
명령 프롬프트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합니다.
아래 명령을 입력합니다.
아래 사진과 같이 나오면 정상적으로 처리된 것입니다.
DISM.exe /online /cleanup-image /spsuperseded |
다시 프로그램 및 기능으로 가 보면 제거 버튼이 없어져 있습니다.
- 방문자
- 2680642
- Today
- 309
- Yesterday
- 560
- ipTime공유기
- 구글번역기
- 탐색기
- 티스토리
- IP공유서비스
- 마우스
- ipTime공유기설정
- 헌법재판소
- 티스토리 데이터
- CRLF
- pc 최적화
- 작업관리자
- 파밍
- 예약파티션
- <noscript>
- 도메인
- 종료
- 컴퓨터켜진시간확인
- ServerSignature
- 리눅스 텍스트 파일 변환
- hosts
- 탄핵심판
- \n
- 티스토리초대장
- Vmware
- 마우스 우클릭 방지
- 포트
- 서비스
- 사이트차단
- 컴퓨터켜진시간